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The Philosophical Impact of Plastic Surgery on Personal Self-Concept(정체성의 변형: 성형 수술이 개인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철학적 영향들)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The Philosophical Impact of Plastic Surgery on
Personal Self-Concept
"Is appearance who I am?"
This question lingers in the minds of people navigating through the bustling streets of modern Korean society. In the early 2000s, the headline "Is appearance a form of power?" frequently sparked heated debates in the media. However, as time has passed, appearance has come to affect more than just social hierarchy—it has reached the realm of individual identity and even the fragmentation of one’s self-concept. In today’s society, plastic surgery has evolved from merely being a means of external change to impacting the sense of self. This article explores the influence of external, psychological, and 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personal identity and how these aspects intertwine in modern society.
Generally, an individual’s self-concept encompasses various elements, such as appearance, personality, memories, and experiences. Among these, appearance is becoming an increasingly dominant factor, which is problematic. Appearance is not only the most immediate and superficial element that others perceive but is also a key component in the Korean notion of "physiognomy"—the belief that one’s appearance can reveal character or fate. Physiognomy has held a significant place since ancient times, yet it now seems more relevant than ever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For instance, when a popular actor is involved in a crime, what do people rush to look up? Often, Koreans search for fortune-tellers or physiognomy experts who analyze the actor’s face to find signs of criminal traits. If an expert explains that the actor’s narrow eye spacing was a sign of predisposition to criminal behavior, viewers might become anxious about their own eyes and consider altering them. In this way, appearance in Korea is increasingly intertwined with a perceived validity even in the realm of "superstition." From ancient philosophers like Plato to modern thinkers, the conne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the body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Appearance, rather than being a mere external trait, is deeply embedded within an individual's self-concept, suggesting that our sense of self may be dissolving as we become more immersed in the plastic surgery industry. Consequently, plastic surgery has transcended the mere concept of "beauty." It is not only about meeting certain standards of beauty or satisfying a simple desire for physical transformation; it is a matter of psychological need, one that risks distorting the sense of self and mental well-being. In the past, "dieting" was a major social phenomenon in Korea, yet medical experts criticized it as a practice that should focus on "health" rather than appearance. Around that time, the covers of Korean magazines featured celebrities with fair, white-toned skin, which led to the rise of the "whitening" tanning and dieting trend in Seoul’s Gangnam district, the epicenter of Korea’s beauty industry. However, as new celebrities with Western physiques and bronzed skin began to project healthy and appealing images, Korea’s beauty standards shifted once again, this time toward "black tanning." Some foreign medical experts predicted that Korea’s plastic surgery craze would eventually subside, viewing it as a temporary trend.
However, for those who enhance their noses, adjust the shape of their eyes, and modify their facial structure, nothing seems to be more reassuring than the belief that they have achieved a sense of "perfection." These individuals are often deaf to criticisms or alternative perspectives. As people undergo plastic surgery in the pursuit of self-growth and a desire to realize a better version of themselves, some inevitably develop a dependency on the procedure. Seeing countless others undergo surgery to resemble the same few celebrities or idealized faces, Korean society faces a growing sense of melancholy. Those who feel their own faces fail to meet these aesthetic standards may even experience psychological distress, feeling anxious about not measuring up.
The dilemma faced by Koreans due to plastic surgery grows more severe and perilous with time. Plastic surgery not only reshapes outer appearances but also challenges the very foundations of self-identity. The inability to overcome this fundamental identity conflict risks deepening self-loathing.
정체성의 변형: 성형 수술이 개인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철학적 영향들
“외모가 곧 나인가?”
한국의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항상 궁금증을 가지며 도심속을 거닐곤한다. 2000년대 초반즈음엔, “외모가 곧 권력인가?” 라는 주제로 신문 헤드라인을 오르락 내리락하며 열정토론이 이루워지던 시대였는데, 어느덧 외모는 하나의 사회계층뿐만아닌, 자아정체성의 분열 범위에도 다가오기 시작했다. 이로써 현대사회에서는 성형은 그저 단순한 외적변화가 아닌, 자아혼성까지 범위를 넓혀 증진되어 오기 시작했다. 외적인 요인에서의 개인의 자아정체성 그리고 심리적요인, 정신적요인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았다. 보통 인간의 자아 개념은, 외모,성격,기억,경험등의 요소에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외모가 차지하는 영역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가장 문제되는 부분이다. 외모는 타인에게 비출 수 있는 가장 1차원적인 표면적 요소일 뿐만아니라, 한국에서 제일 중요시 하는 ‘관상’의 개념에서도 중요 요소를 담당하고있다. 관상은 옛 시절부터 항상 자리 잡은 부분이었지만, 최근들어 젊은층들사이에서도 이보다 더 큰 이슈는 없을것이다. 티비에 나오는 배우가 갑자기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면, 다들 무엇을 찾아볼까? 한국인들의 가장 큰 검색어는 그 배우의 관상을 봐주는 무당을 검색하곤한다. 영상속 무당이, 그 배우는 원래 눈과 눈썹사이가 가까워서 범죄를 저지를 관상이었다고 말한다면, 한국인들은 본인의 눈썹과 눈을 걱정하며 바꾸려고 노력한다. 이로써 한국에서의 외모는 점차 ‘미신’의 요소에서도 신빙성을 얻고있다는 사실이다.
플라톤과 같이 고대철학자들부터 시작해 근현대의 철학자들애게 이르기까지 수없이 자아개념과 신체의 연결관계는 빠른 속도로 언급되어가고 있었다. 외모가 단지 외적인 부분뿐만아니라, 사람의 자아개념에 깊숙이 내재하는 점에서, 우리의 자아는 점점 성형 산업에 빠져 사라지고 있을 뿐이다. 그리하여 성형수술은 단순한 외모를 가꾸는, ‘뷰티’의 개념이 아닌, 미의 기준을 따라하고 재구성하려는 단순한 욕구를 넘어 자아와 정신적 요인의 변질이라는 심리적 욕구의 문제이다. 이전에 한국사회에 큰 영향을 끼친 ‘다이어트’또한 여러 의사들은 ‘건강’에 포커스를 맞추며 비판하곤했다. 또한 그시절 한국 잡지들의 표지를 장식한 배우들의 피부 톤을 보면 모두 순백의 화이트톤이곤 했다. 한국의 성형의 도시인 서울 강남엔, 이로써 ‘화이트태닝다이어트’ 붐이 불기 시작했다. 하지만 점차, 서구적인 몸매와 건강한 바디를 지향하고 추구하는 배우들의 등장과 갈색의 스킨톤을 가지고 건강한 매력을 발산하는 모델들의 영향으로 한국은 또다시 ‘블랙태닝’에 빠지기 시작했다. 일부 외국의 의사들은 현재 한국의 성형으로 인한 붐 또한 점차 줄어들며, 단기적인 이슈라고 판단하곤했다. 그치만 이젠, 본인의 코 높이를 바꾸고, 눈의 높낮이를 바꾸며, 크기를 수정하는 개인에게 더욱 ‘완벽해졌다’고 느끼는 그들에겐 더이상 어떠한 말도 들리지 않을것이다.
성형을 통해 자아성장을하고, 더 나은 자아를 완성하려는 욕구로인해 끊을 수 없는 중독을 가진 사람들을 보며, 모두가 같은 배우의 얼굴을 닮고싶어해 똑같이 성형을 하는 모습을 보며, 한국의 사회는 점점 우울감에 빠지게된다. 본인의 얼굴이 미의기준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심리적으로 그들과 같아야한다며 불안해하기까지한다. 성형수술로 인한 한국인들의 딜레마는 이처럼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해지며, 위험해지고있다. 단순한 외모를넘어, 자아정체성의 근본적인 문제또한 극복할 수 없어지며 더욱 본인혐오에 빠져들게된다.
Comments
Post a Comment